medium에 연재된 컬럼을 요약한 내용입니다.
일상 속 앱 서비스로 돈 버는 삶
광고 수익화 그리고 구독 수익화
medium.com
앱서비스의 큰 수익 경로
광고와 인앱결제 ( 인앱결제로 가장 떠오르는 게 구독 서비스)
그래서 크게
광고 수익화와 구독 수익화
광고 수익화
1. 유저 입장에서 지불해야하는 비용이 없음
2. 광고를 붙이는 것만 따져도 어려움(광고모델의 시장, 정책 등에 민감하게 대응해야함)
3. 변수 최적화에 따라 광고의 수익이 달라짐
- '지면' 선정 방식 (클릭이 많이 발생하는 지점, 노출이 많이 발생하는 지점, 노출 지면이 넓은 지점 등),
- '포맷' 지정 (이미지, 배너, 네이티브, 동영상 등),
-활용할 ‘미디에이션 플랫폼’ 및 추가로 붙일 ‘광고소스들’ 선정 (Mopub, Admob, Pangle, Fyber 등)
-위너를 선정할 ‘입찰 방식’ 구현 (워터폴, 헤더비딩 or 두 가지를 섞은 하이브리드 등),
-수급한 광고에 대한 ‘필터링 조건’ 설정, 노출에 필요한 ‘유저 권한 설정’까지… 등등 이외에도 많음
구독 수익화
구독결제란, 일정 주기마다 지속적으로 결제가 되게끔 하여 해당 기간 내에 재화 및 서비스를 자유롭게 무제한으로 누리는 방식의 상품
1. 광고 수익화와 가장 대비되는 점 "유료"라는 점. 대신 프리미엄 기능들을 사용이 가능하며, '광고'에서 자유로움
2. 앱 서비스 시장 내에 광고 수익외 새롭게 떠오르는 수익 구조 방식
3. 광고 수익화처럼 시장 및 외부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앱서비스의 본질에 집중
- 우리 앱 서비스의 효용과 가치를 어떻게 정의하고 구현할 것인가
- 우리 서비스에 대한 유저들의 피드백은 어떤가
- 인앱 데이터를 통해 유저들의 니즈 또는 페인포인트(고객이 불편함을 느끼는 지점) 파악
그렇다면 알라미의 구독 수익화는 어떤가?
알라미 - DAU : 200만
2019년 말 구독 수익화 시작 -> 현재 10만명 가까이 구독 서비스 이용
그 비결은?
- 기본적으로 잠을 확실히 깨워준다는 가치 실현
- 성공적인 아침 습관을 형성하는 데까지 앱의 기능을 고도화
- 나아가 수많은 실험을 통해 유저 세그먼트별 페인 포인트(pain point)가 무엇인지, 어떠한 부분에서 앱의 가치를 크게 느끼는지 레슨(lesson)들을 쌓아온 것
'데이터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인과 결과의 경제학" 을 읽고 (1) | 2023.04.30 |
---|---|
[그로스해킹] PMF란 (1) | 2023.04.19 |
[medium] 딜라이트룸 연재 글 읽기 (0) | 2022.12.31 |
데이터 분석에서 가설을 세우는 법 (0) | 2022.11.23 |
리텐션 측정 방법 3가지 (1) | 2022.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