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ns Protocol 은 탈중앙 웹3 소셜 미디어 프로토콜이다.
하나의 프로필 NFT로 Lens Protocol에 올라온 소셜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다.
렌즈 프로토콜의 기반이 되는 블록체인은 폴리곤 PoS 네트워크이며, 이외에도 IPFS를 지원하여 사용자들이 제작한 컨텐츠는 탈중앙 스토리지에 안전하게 저장된다.
다음은 렌즈 프로토콜 웹사이트의 설명을 가지고 왔다.
렌즈 프로토콜은 사용자 소유의 오픈 소셜 그래프(social grapth)로, 어떤 어플리케이션에서든 쉽게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프로필을 발행하고, 다른 이들을 팔로우하고, 어떤 게시글이던지 만들고 수집할 수 있다, 완전하게 체인 위에서!
핵심적으로, Lens Protocol은 Web3 네이티브이며, 뿌리부터 싹까지 Web3 커뮤니티를 위한 기능으로 구축되었다.
당신의 컨텐츠, 소셜 그래프, 데이터를 소유하세요.
Lens Protocol 에서의 Social Graph란?
Web2 에서의 Social Graph
개별 서비스들이 자신들의 등록된 고객 데이터를 정보로 해서 관계망을 연결
web3에서의 Social Graph
고객 데이터 베이스를 모두 공유
Lens Protocol 이라는 프로젝트에서 이 개념 처음 만들었다.
Lens Protocol 서비스 시스템
렌즈 프로토콜에서의 NFT는 웹3의 아이디로 보면 된다.
자신들이 발행한 NFT만 갖고 있으면, 이 NFT에 고객 정보들을 저장한다.
이 저장된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자신들의 프로토콜들을 활용해서 서비스를 개발하는 사람들에게 모두 제공한다.
즉, 개별 서비스를 만들지만 고객 데이터 베이스를 다 공유하여 렌즈 프로토콜의 모든 데이터를 끌어다 -> 서비스 개발할 수 있다.
고객들은 NFT 하나만 있으면 렌즈 프로토콜 위에 올라온 서비스를 다 이용할 수 있다.
소셜 그래프를 제공하는 생태계 안에서는 이 모든 고객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공유함으로써 서비스를 공급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편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
렌즈프로토콜은 하나의 체인이다.
소셜그래프가 커질 것 같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렌즈 프로토콜 위에 dAPP 만들고 있음
현재로써는 코인은 없고, NFT 로만 존재
유저들이 자신의 데이터를 공개하고 싶지 않다면?
유저들은 자신이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나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느 사람도 선택 가능하다.
또한 보안 및 변조 방지 인프라로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가 비공개로 안전하게 유지된다.
렌즈 프로토콜의 퍼블리케이션이란?
퍼블리케이션은 사용자들이 제작한 컨텐츠를 의미한다.
유저가 작성한 퍼블리케이션은 유저들의 프로필 NFT에 기록된다. 따라서 유저들의 컨텐츠는 온전히 유저들의 지갑을 통해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다. 퍼블리케이션은 실제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IPFS, Arweave, AWS S3의 링크를 가리키는 ContentURI를 포함하고 있다.
출처 :
네스트리NFT뉴스(https://kr.nestree.news)
https://medium.com/a41-ventures/research-lens-protocol-웹3-0-소셜-미디어-65199fe8635e
https://www.youtube.com/watch?v=T7iJwu7pPD0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이란? PoW , PoS , DPoS (1) | 2023.05.02 |
---|---|
[Defi 서비스의 흐름] (0) | 2023.04.25 |
[REMIX] Error while connecting to the provider, provider not connected , Ganache 에 배포하려고 연결하니 에러가 날 때 (0) | 2023.04.22 |
퍼블릭(Public) 블록체인과 프라이빗(Private) 블록체인 (0) | 2023.04.19 |
스마트 컨트랙트와 보안의 중요성을 알아보자 (0) | 2023.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