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Blockchain (퍼블릭 블록체인)
퍼블릭 블록체인은 누구든지 네트워크에 참여가능하다. 모든 참여자가 블록체인에 대한 전체 복사본을 보유하고 있으며, 동시에 열람 가능하다. 이는 참여자들 간의 신뢰성을 유지하고 부정 행위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다. 퍼블릭 블록체인은 익명의 노드로 신원확인이 불가하다.
예시 : 스팀잇 , 이더리움, 비트코인
Private Blockchain(프라이빗 블록체인)
Private Ledger: Centralized under one organization which controls the right to view and sens transactions. e.g. Bankchain, multichain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법적 책임을 지는 허가받은 사람만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고, 참여자만이 거래 내역을 열람하고 새로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신뢰할 수 있는 소수의 사람들만 참여하여 트랜잭션 속도가 빠르지만, 일부 중앙화가 되는 부분도 있어 보안성이 낮아질 수 있다. 신원 확인된 노드를 사용하므로 참여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기업들이나 조직 내에서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신원 확인된 노드다 보니 활성화 되기 어려운 부분도 크고, 기업 내에서가 아니면 블록체인 서비스로 배포하면 제대로 성공하기 어려운 것 같다.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 비교표
예시 : R3, hyperledger 등
참고 출처 : https://medium.com/@kimjunyong/4-퍼블릭-블록체인-vs-프라이빗-블록체인-725b9fa92809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이란? PoW , PoS , DPoS (1) | 2023.05.02 |
---|---|
[Defi 서비스의 흐름] (0) | 2023.04.25 |
[REMIX] Error while connecting to the provider, provider not connected , Ganache 에 배포하려고 연결하니 에러가 날 때 (0) | 2023.04.22 |
스마트 컨트랙트와 보안의 중요성을 알아보자 (0) | 2023.04.18 |
블록체인 용어를 chat gpt에게 물어봤다. (1) | 202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