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의 알고리즘의 개념
합의 알고리즘이란 여러 사람들이 합의를 도출해내는 방법
탈중앙화 시스템들은 탄탄한 합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해야만 만들어질 수 있다.
합의 알고리즘의 종류 3가지
1. 작업 증명(Proof of Work, PoW)
2. 지분 증명(Proof of Stake, PoS)
3. 위임된 지분 증명( Delegated Proof of Stake , DPoS)
1. 작업증명(proof of Work)
역사
1992년
작업 증명 방식은 스팸 메일 문제를 위해 발견되었다.
스팸 방지를 위해 누군가에게 이메일을 보내기 위해 쉬운 수학 문제를 풀어야 보낼 수 있다.
수학 문제를 하나를 푸는데 시간과 에너지를 씀으로써 내가 보내는 이메일이 중요하다는 증명 -> 스팸 메일을 억제하는 효과
2004 년 재사용 가능한 작업증명 발견 - 비트코인 기초가 되었다.
원리
작업 증명 : 어떤 일이나 작업을 했다라는 것을 증명해야만 블록을 연결시킬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진다.
해쉬값 y=f(x) / 비가역성
y를 통해 x값을 찾는데 모두 다 x의 값이 맞다고 증명하면 블록 연결
2. 지분증명 (Proof of Stake, PoS)
역사
지분 증명은 2011년도 비트코인 프로토콜에 처음 올라왓다.
비탈릭은 이더리움을 1.0 -> 2.0 업데이트 하면서 합의 알고리즘을 작업증명(PoW) -> 지분증명(PoS)으로 변경하였다.
원리 및 종류
지분증명: 지분이 높을수록 더 정직하게 행동할 것이라는 특성 이용
1) Randomized Block Selection
A, B , C, D 가 각자 갖고있는 지분의 비율에 따라 블록을 연결할 수 있는 권한 설정
지분이 높으면 높을수록 블록을 연결할 수 있는 권한 높아짐
2) Coin Age Based Selection
지분뿐 아니라 얼마큼 오래 코인을 갖고있는 지도 블록을 연결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확률에 영향 끼침
3. 위임된 지분 증명(Delegated Proof of Stake)
원리
개개인이 직접 참여하기 보다는 회사에 대해 잘 알고, 관심있는 몇 사람에게 결정권을 위임하는 방식
지분 증명 - 직접 민주주의
위임된 지분 증명 - 간접 민주주의
내용의 출처는 아래 영상에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hXaKDT21eQ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ns Protocol 이란? (0) | 2023.05.03 |
---|---|
[Defi 서비스의 흐름] (0) | 2023.04.25 |
[REMIX] Error while connecting to the provider, provider not connected , Ganache 에 배포하려고 연결하니 에러가 날 때 (0) | 2023.04.22 |
퍼블릭(Public) 블록체인과 프라이빗(Private) 블록체인 (0) | 2023.04.19 |
스마트 컨트랙트와 보안의 중요성을 알아보자 (0) | 2023.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