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08)
리눅스에 workbench 설치 및 접속 workbench 란? 오라클로 치면 sqldeveloper 와 같은 툴로 MySQL 다룰 때 많이 사용한느 툴이다. workbench 설치 방법 1. 설치 설치 작업은 putty에서 하지말고 리눅스 서버 안에 터미널창에서 수행 root 유저로 접속해서 수행하기 아래의 명령어를 순서대로 실행 yum install epel-release -y wget http://repo.mysql.com/mysql-community-release-el7-5.noarch.rpm yum install mysql-community-release-el7-5.noarch.rpm -y yum install mysql-workbench -y 마지막으로 다음 명령어 실행 mysql-workbench 2. 새로운 터미널 창을 열고 아이..
오라클과 MySQL 차이점 [1] 형식 차이 오라클 MySQL varchar2 varchar number(10) int(10) [2] 데이터 대소문자 구분 오라클 MySQL 데이터 대소문자 구분 데이터 대소문자 구분X [3] 일반 함수 oracle MySQL decode if case case #oracle 에서 decode select ename, deptno, sal, decode(deptno, 10, 300, 20, 500, 0 ) as bonus from emp; #MySQL에서 if select ename, deptno,sal,if(deptno=10,300 if(deptno=20,500,0) ) as bonus from emp; [4] 날짜포멧 오라클 MySQL RRRR,YYYY : 연도 4자리 %Y : 연도 4자리 RR..
vi 편집기 기본 사용 방법 vi 편집기 명령모드 3가지 1. command 모드 : vi 편집기의 기본 모드, vi 실행하면 바로 보이는 화면 (편집은 못하고 이동까지 가능) 2. edit 모드 : 내용을 입력, 수정, 삭제하는 명령모드 3. last line 모드 : 저장, 종료, 강제 종료 등의 명령어를 입력하는 모드 :wq! 저장하고 종료 (단축키 :ZZ) :q! 저장 안하고 종료 (단축키: ZQ) vi 편집기 내에서 커서 이동 j :아래로 이동 k : 위로 이동 h : 왼쪽으로 이동 l : 오른쪽으로 이동 1G : 맨위로 이동 (단축키 gg) G : 맨 아래로 이동 :set nu : 파일 내의 텍스트에 번호를 표시 :set nonu : 번호 다시 안보이게 하는 명령어 gg : 맨 위로 한번에 순간이동하는 단축키 vi 편집기..
리눅스 기본 명령어 22, 23, 24 [chown, su, chmod] 정리 [명령어 22] chown 명령어 (Change Owner) "Change Owner" 의 약자,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자를 변경하는 명령어" 문법: chown 변경할소유자 :변경할그룹명 파일/디렉토리 1. emp.csv 의 소유자 확인 [root@localhost oracle]# ls -l emp.csv -rw-r--r--. 1 oracle oracle 659 9월 6 16:23 emp.csv -rw-r--r--. 1 oracle oracle 659 9월 6 16:23 emp.csv 권한관련정보 링크 소유자 그룹 파일크기 생성날짜 링크가 뭐지? 2. emp.csv 소유자 oracle -> root 로 바꾸기 chown root:root emp.csv [root@localhost oracle]# cho..